vision
함께 지키는 안심 지중환경 조성
위해도 기반 매체 통합 오염관리기술 고도화로 건강하고 쾌적한 지중환경 활용기반 구축
내역 | 대과제 | 소과제 |
---|---|---|
지중환경 오염ㆍ위해 진단ㆍ예방 | 지중환경 오염거동특성 평가ㆍ진단 | 지중환경 오염경로 진단ㆍ평가 기술 |
지중환경 오염물질 조사ㆍ조사예측 기술 | ||
지중환경 오염물질 거동 평가ㆍ예측 기술 | ||
지중환경 위해성 평가ㆍ진단 | 지중환경 오염경로 진단ㆍ평가 기술 | |
지중생활공간 오염ㆍ위해 진단체계 구축 기술 | ||
지중환경 오염ㆍ위해 대응ㆍ관리 | 지중시설 유발오염감시 | 지중시설 오염 누출감시 및 경보시스템 구축 기술 |
지중시설 주변환경 오염 발생감시․경보시스템 구축 기술 | ||
지중환경 오염 확산방지 | 오염 지하수 이동 차단 기술 | |
오염물질 원위치 지중안정화 기술 | ||
오염물질 선택적 제어 확산방지 기술 | ||
지중환경오염 정화 고도화 | 지중오염 정화공법 효율 고도화 기술 | |
정화완료부지 토양건강성 진단ㆍ회복 기술 |
사업단위 | 분야 | 세부기술 |
---|---|---|
CO2 저장 환경관리 기술개발사업 | CO2 거동 및 누출평가 | 지하 인공누출 장치와 모니터링 시설 등을 설치 후 CO2 누출에 대한 환경영향을 평가· 관리하기 위한 기술 개발 |
CO2 저장 환경 위해성 평가·관리 | CO2 누출에 의한 환경영향을 조기에 탐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오염원의 종류와 기준을 확립하고 평가·저감 기술 개발 | |
CO2 저장 환경영향 평가· 관리 기반구축 | CO2 저장사업 추진과 관련한 법·제도를 정비하고 위해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환경관리 가이드라인을 마련 |
핵심 전략 | 중점 추진과제 |
---|---|
표토환경 통합관리 및 조사ㆍ예측 고도화 | ①표토환경 통합관리 시스템 기술 ②표토환경 조사ㆍ예측 고도화 기술 |
표토환경 보전 및 최적 관리 | ①표토침식 고위험 지역 방지ㆍ복원 기술 개발 ②표토환경보전 지역특이적 최적관리 기술 개발 |
내역 | 대과제 | 소과제 |
---|---|---|
[1] 표토환경 통합관리 및 조사ㆍ예측 고도화 기술 | [1-1] 표토환경 통합관리 기술 | 여러부처에서 관리하고 있는 표토환경 보전관련 정보*의 통합관리 기술 개발
|
[1-2] 표토환경 조사ㆍ예측고도화 기술 | IT기술을 접목한 표토유실 발생원ㆍ경로 추적, 침식에 따른 2차 환경오염 등의 사전예측 시스템 개발 | |
[2] 표토환경 보전 및 최적관리 기술 | [2-1] 표토침식 고위험지역 방지ㆍ복원 기술 | 표토침식이 심각한 고위험지역* 분류와 함께 안정화 긴급복구 기술 개발
|
[2-2] 표토환경보전 지역특이적 최적관리 기술 | 지역특이적* 표토침식 예방 및 효율적 관리기술 개발
|
분야 | 7개 프로젝트 |
---|---|
가연성 폐자원 |
|
유기성 폐자원 |
|
구분 | 과제정의 | |
---|---|---|
추진방식 | 통합형 과제 | “총괄과제”와 “세부과제”로 구성·수행되는 단위과제 |
추진단계 | 실용화 | 기업이 참여하여 기술개발의 실용화를 목적으로 추진되는 과제 |
실증화 | 개발된 기술의 실증설비 적용을 위하여 최적화·규모확장 및 주변기술 확보 등을 목적으로 추진되는 과제 |
분야명 | 주요내용 |
---|---|
생물다양성 위협 외래생물 예찰 및 위해성 평가 기술 개발 | 생태계교란 생물 포함 국내 유입된 외래생물을 대상으로 IT 기반의 모니터링, 확산 및 생태계 변화 예측 기술, 생태계교란 생물 지정을 위한 정량적 위해성 평가 기술 개발 |
생물다양성 위협 외래생물 제거 기술 개발 | 국내 유입된 외래생물로 인한 생태계 안정성 훼손 및 생물다양성 손실 저감을 위한 생태계 교란 생물 종별 맞춤형 제거 기술 개발 |
구분 | 과제정의 |
---|---|
공공활용 | 정부, 지자체 등의 정책수요 기술의 공공활용, 제도개선을 목표로 대학·출연연, 기업 등이 참여하여 추진 |
실용화 | 기업이 참여하여 기술개발의 실용화를 목적으로 추진하는 과제 |
과제담당관 : 개발사업과 환경정책연계
분야별 평가위원회,총괄조정위원회 : 과제의 선정,평가관련 전문적 심의
행정위원회:이의신청,기술료분쟁심의
제재조치평가단 : 제재조치 및 환수 심의
참여기업:연구참여 및 성과활용
위탁연구기관 : 위탁과제수행
분야 | 주요내용 |
---|---|
폐비닐ㆍ폐플라스틱 분리ㆍ선별 | 폐비닐 재활용을 위한 파쇄-세척-건조-선별 및 Up-Cycling 시스템 개발 |
폐플라스틱 재활용을 위한 ICT 기반의 한국형 선별공정 개발 | |
폐비닐ㆍ폐플라스틱 물질재활용 | 저급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토목구조물 적용기술개발 |
저급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건축자재 제조기술개발 | |
저급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인공섬유 상용화 기술개발 | |
PE계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재생원료 상용화 기술개발 |
구분 | 과제정의 | |
---|---|---|
추진방식 | 개별과제 |
|
통합형과제 |
|
|
추진단계 | 실증화 |
|
과제담당관 : 개발사업과 환경정책연계
분야별 평가위원회,총괄조정위원회 : 과제의 선정,평가관련 전문적 심의
행정위원회:이의신청,기술료분쟁심의
제재조치평가단 : 제재조치 및 환수 심의
참여기업:연구참여 및 성과활용
위탁연구기관 : 위탁과제수행
분야 | 주요내용 |
---|---|
생물기능 모방 환경기술개발 |
|
Bridge 프로그램 |
|
구분 | 과제정의 | |
---|---|---|
추진방식 | 개별과제 |
|
통합형과제 |
|
|
추진단계 | 실용화 |
|
과제담당관 : 개발사업과 환경정책연계
분야별 평가위원회,총괄조정위원회 : 과제의 선정,평가관련 전문적 심의
행정위원회:이의신청,기술료분쟁심의
제재조치평가단 : 제재조치 및 환수 심의
참여기업:연구참여 및 성과활용
위탁연구기관 : 위탁과제수행
분야명 | 주요내용 |
---|---|
도시생태계 구조 및 기능 관리 기술 |
|
맞춤형 도시 생태계 기능 향상 기술 |
|
도시생태계 통합 관리 기술개발 |
|
구분 | 과제정의 | |
---|---|---|
추진방식 | 개별과제 |
|
통합형과제 |
|
|
추진단계 | 실용화 |
|
과제담당관 : 개발사업과 환경정책연계
분야별 평가위원회,총괄조정위원회 : 과제의 선정,평가관련 전문적 심의
행정위원회:이의신청,기술료분쟁심의
제재조치평가단 : 제재조치 및 환수 심의
참여기업:연구참여 및 성과활용
위탁연구기관 : 위탁과제수행
분야 | 주요내용 |
---|---|
플라스틱 용기류 순환이용성 개선 기술 |
|
재활용저해 전자제품 순환이용성 개선 기술 |
|
재생에너지 폐기물 재활용 기술 |
|
구분 | 과제정의 |
---|---|
실증화 |
|
과제담당관 : 개발사업과 환경정책연계
분야별 평가위원회,총괄조정위원회 : 과제의 선정,평가관련 전문적 심의
행정위원회:이의신청,기술료분쟁심의
제재조치평가단 : 제재조치 및 환수 심의
참여기업:연구참여 및 성과활용
위탁연구기관 : 위탁과제수행
분야 | 주요내용 |
---|---|
ICT기반 환경영향평가 의사결정 지원기술 개발사업 |
|
|
|
|
구분 | 과제정의 |
---|---|
공공활용 |
|
과제담당관 : 개발사업과 환경정책연계
분야별 평가위원회,총괄조정위원회 : 과제의 선정,평가관련 전문적 심의
행정위원회:이의신청,기술료분쟁심의
제재조치평가단 : 제재조치 및 환수 심의
참여기업:연구참여 및 성과활용
위탁연구기관 : 위탁과제수행