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른쪽 홈페이지 바로가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사업별 관련 웹사이트에 방문할 수 있습니다. 환경정보공개시스템
세부 항목 현황 : ( 의무 /
자율 / - 해당사항 없음)
구분 | 공개항목 | 제조 | 공공 행정 |
교육 서비스 |
보건 | 기타 서비스 |
기타 산업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- | - | 총27 의무13 자율14 |
총19 의무8 자율11 |
총19 의무6 자율13 |
총19 의무7 자율12 |
총19 의무6 자율13 |
총27 의무13 자율14 |
기업개요 | 사업현황 | 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환경관련 수상 및 협약 현황 | 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|
녹색경영 시스템 | 비전, 전략, 방침, 목표 | 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전담조직, 교육훈련, 내부심사 등 | 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|
자원/에너지 | 저감투자 및 기술도입 | 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원부자재 사용량 · 원단위 | ![]() |
- | - | - | - | ![]() |
|
용수 사용량 · 원단위 · 재활용량 | 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|
에너지 사용량 · 원단위 | 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|
신재생에너지 투자 및 기술도입 | 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|
온실가스/환경오염 | 온실가스 저감투자 및 기술도입 | 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온실가스 관리수준 및 배출량 · 원단위 | 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|
환경오염 저감투자 및 기술도입 | 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|
환경오염관리시설 및 모니터링 시스템 현황 | 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|
대기오염물질 배출량 · 원단위 | ![]() |
- | - | - | - | ![]() |
|
수질오염물질 배출량 · 원단위 | 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|
폐기물 발생량 · 원단위 · 재활용량 | 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|
화학물질 배출량 · 원단위 | 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|
토양 · 소음진동 · 악취 관리 현황 | ![]() |
- | - | - | - | ![]() |
|
녹색제품서비스 | 녹색제품 · 서비스개발 투자 및 기술도입 | ![]() |
- | - | - | - | ![]() |
친환경설계(에코디자인) 현황 | ![]() |
- | - | - | - | ![]() |
|
제 3자 인증 및 TypeⅡ인증 제품 현황 | ![]() |
- | - | - | - | ![]() |
|
녹색구매 지침 운영 현황 | 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|
협력업체 환경정보관리 및 환경성 평가 | ![]() |
- | - | - | - | ![]() |
|
환경기술 및 교육지원 현황 | ![]() |
- | - | - | - | ![]() |
|
사회윤리적 책임 | 국내외 환경법규 위반 현황 | 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환경(지속가능)보고서 발간 현황 | 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|
이해관계자 환경정보 요청 대응현황 | 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기관 | 내용 |
---|---|
은행 | 환경경영 우수기업에 대한 금융·대출상품 개발, 여신 심사시 기업 환경리스크 반영 등에 활용 |
기업 | 자사 환경경영성과 평가 척도, 기업의 환경경영 활동 확대시 활용 |
정부 | 기업별·업종별 환경경영 현황 조회 및 분석, 환경산업 육성에 대한 금융지원 정책 수립시 기초자료로 활용 |
구분 | 주요내용 |
---|---|
ESG경영체계 구축 | ESG경영목표 수립, 모니터링 및 성과분석 방안 제시 등 |
친환경공정개선 | 환경오염물질 배출 저감 및 자원 에너지 절약 등을 위한 현장진단 솔루션 제공 등 |
온실가스 관리체계 구축 |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검증, 온실가스 감축목표 수립 및 감축방안 도출 |
ESG 교육 및 타 지원사업 연계 | 관리자 및 담당자 대상 ESG 동향 및 관련 교육 제공, 스마트 생태공장 등 타 기관 지원사업 안내 및 신청 지원 등 |
과목 | 일차 | 교육내용 |
---|---|---|
ESG 규제대응 (3일) |
1일 ESG 정보공시 및 평가 대응 |
|
2일 공급망 ESG 리스크 관리 |
|
|
3일 제품기반 ESG 규제개요 및 LCA이해 |
|
|
ESG 규제대응 (3일) |
4일 글로벌 탄소중립 규제동향 및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|
|
5일 탄소중립 주요이슈 및 대응전략 수립 |
|
과목 | 일차 | 교육내용 |
---|---|---|
ESG 보고서 작성 (3일) |
1일 ESG 주요공시 및 TCFD 이해‧실습 |
|
2일 EU CSRD 및 ESRS 항목 이해 |
|
|
3일 ISSB 공시기준 및 주요 항목 이해 |
|
|
ESG 보고서 검증 (2일) |
4일 ISAE3000 기준 검증 방법론 |
|
5일 AA1000 기준 검증 방법론 |
|
< 우수 녹색기업 포상규모(안) >
구분 | 포상규모 | 비고 | |
---|---|---|---|
기업 | 대상 | 환경부 장관상(1개사) | 녹색기업 지정심사 항목을 중심으로 심사 |
최우수상 | 환경부 장관상(1개사) | ||
우수상 | 환경부 장관상(2개사) | ||
특별상 | 환경산업기술원장상(1개사) | ||
개인 | 업무유공 | 장관표창(개인 3)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