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략방향 | 전략과제 | 세부 실행과제 |
---|---|---|
1 협력기업의 시장확대 |
1. 판로개척 지원 |
① 우수 중소기업제품 내수 활성화 ② 중소기업 제품의 공공구매 촉진 ③ 해외 진출 희망사다리 구축 ★ |
1. 판로개척 지원 |
① 각종 소요경비 경감으로 기업 경영활동 보장 ② 협력기업과 동반성장을 위한 성과공유제 확대 ★ ③ 영세·중소기업 이익 보존을 위한 품질관리 지원 |
|
2.협력이익· 성과공유 확산 |
① 기관·기업의 환경정보 투명공시 제도 마련![]() ② 녹색산업 민간 자금 유입 촉진 ★ ③ 저탄소·저금리 융자지원 확대 ④ 탄소중립 업종 전환 및 국제 탄소규제 대응 ★ ![]() |
|
2 협력기업 성장동력 확보 |
1. 기술개발 및 보호 지원 |
① 민간 중심 R&D 활성화 지원체계로 혁신 ★![]() ② 협력기업 기술혁신 및 기술경쟁력 강화 지원 ③ 협력 중소기업 기술 보호 울타리 조성 |
2. 시장 선도형 환경기업 육성 |
① 녹색산업 창업기업 발굴·그린유니콘 육성 ★ ② 기업 성장 맞춤형 디지털 플랫폼 구현 ③ 중소·중견기업 녹색성장 역량 강화 ★ |
|
3. 사업화 지원 인프라 구축 |
① 녹색산업 혁신성장 거점단지 조성 ② 환경기업 기술·제품 실증 지원 ③ 미활용 연구성과의 기술이전 및 사업화 촉진 ★ ![]() |
|
3 협력기업 경영환경 개선 |
1. 공정거래 자율 준수 체계 구축 |
① 공정거래문화 확산 및 불공정행위 차단 ② 상생결제 정착으로 중소기업 결제환경 개선 ③ 합리적 납품단가 보장 노력 ★ ![]() |
2. 경영활동 몰입 환경 조성 |
① 협력기업의 복지 격차 완화 ② 협력사부터 입주기업·방문객까지 안전 일터 조성 ③ 현장규제 집중 개선으로 기업부담 완화 ★ |
|
3. 환경산업 인재 양성 및 고용 연계 |
① 탄소중립·ESG 전문인력 양성 ★ ② 중소기업 환경인력 매칭·고용 연계 |
|
4 상생·협력 기반 조성 |
1. 동반성장 촉진 시스템 정비 |
① 더불어 잘사는 동반성장 기반 구축 ② 상생협력기금 출연으로 中企·농어촌ESG 실천 |
2. 지역 특화 동반성장 |
① 지역기업 역량 강화 및 성장 지원 ★ ② 지역 환경현안 해결 ③ 지역 취약계층 지원 강화 및 환경 꿈나무 육성 |
|
3. 열린 소통으로 파트너십 강화 |
① 동반성장 추진체계 고도화 ★ ② 협력업체의 애로사항 해소 및 소통 강화 |